목록테슬라 (18)
Fingulish-Home

미국 > 중국 규제 검토 1. 미 상무부, 반도체 공급망 정보수집 조사 착수(100개 기업 이상 조사) : 안보우려 - 중 범용 반도체 규제 고민중(잠재적 위협) 2. 중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 관세 인상 검토 중국 > 미국 규제 검토(자원 무기화) 1. 희토류 추출,분리, 가공기술 수출 금지 2. 자석 생산 기술 금지 캐우시드 테슬라 매수(2,750달러)

이럴때 일수록 포트폴리오 조정과 수량 확보를 해야한다는건 알지만 이미 가진 현금 비중을 소진한 1인이므로 그저 바라만 보고 있다. 아쉬움과 속쓰림이 남는다.. 그렇지만 변화하는걸 지켜보고 다가오는 미래를 관찰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촉각을 곤두세운다.

영원할것만 같았던 #애플 왕국이 이번 하락장에 2위로 밀려난것을 보네요. 석유 왕국 #아람코에 맹추격에 순위가 바뀌었습니다. 석유,, 정말 생활에 필수품이네요,, 석유에서 나오는 모든 형태가 다 쓰임새가 있다하니.. 정말 몰랐던 사실이네요 ※ 코로나 → 러/우 전쟁 → 코로나 재확산(중국 일부 봉쇄) → 인플레이션 우려 이 모든 정황들이 모여 초유에 없던 울트라 악재를 만들어 전 인류에 생존 위협을 가해 오고 있네요.. 앞으로 다가올 미래가 긍정을 기대 하기가 어렵네요~ 하루 빨리 회복 되어 다같이 미소 지으며 여유 있게 차 한잔 할수 있는 날이 오길 바래 봅니다.

“여러분의 포트폴리오에는 ‘FANG’이 있나요?” 2013년 9월 미국 경제 매체 CNBC 진행자 짐 크레이머가 방송에서 던진 이 질문에서 처음으로 ‘FANG(페이스북·아마존·넷플릭스·구글)’이라는 용어가 등장했다. 크레이머는 이 네 기업을 ‘미래를 대표하고, 시장 지배적 지위를 가진 회사’라고 정의했다. 월가(街)는 여기에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하는 애플을 추가해 ‘FAANG’이라 불렀고, 현재까지 FAANG은 미국 성장주와 빅테크를 대표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2014년 출시된 미국 대표 기술 기업 지수에 ‘FANG 플러스(+)’라는 이름이 붙을 정도였다. FANG+는 FAANG 기업을 포함해 미국 증시를 대표하는 10개 기술 기업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2020년 코로나 팬데믹(대유행)이 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