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배당 (9)
Fingulish-Home

코로나 변이 재확산세와 금리 변동등에 따라 다시금 증시가 출렁이고 있다. 이에 어떻게 대응 할것인지에 대해 심히 고민 하고 있다. 이전에는 개별 주식에 직접 투자를 선호 했다. 먼가 그 기업에 주주가 될것 같고, 진정한 투자를 한다고 생각해서 일까.. 소량으로 다수의 기업을 샀다가도 어느 순간에는 뉴스와 언론에 말에 귀를 기울이며, ㅇㅇ이 좋다더라,, 실적이 기대 된다더라..... 이런 말이 돌면 한순간에 소량 종목들을 정리 하며 기대가 되는 기업에 과감히? 투자를 하며, 이익과 손해를 반복하며, 자기 중심을 잃어 가는 나에 모습을 찾을 수가 있었다. 그동안 너무 자만 했던것 같다. 증시를 바라 보며, 기업에 투자하는것을 너무 쉽게 생각했던것 같다. 이에 기준점과 기초를 다지고자 ETF에 다시 초점을 두..

▶ 코카콜라 : 1886년 약제사였던 펨버튼이 만든 코카콜라를 선두로 다양한 음료, 시럽등을 제조 판매하는 회사이다. 1892년 2300달러에 코카콜라 브랜드와 사업권을 구입한 아사 캔들러는 적극적인 마케팅을 통해 미국 및 세계 전역에 코카콜라를 판매했다. 1923년 어니스트 우드러프가 아사 캔들러로부터 사업권을 구입하였으며, 그의 아들인 로버트 우드러프는 이후 60년간 코카콜라를 세계적인 브랜드로 만들어 냈다. 1960년대에는 스프라이트 등 새로운 브랜드를 출시하였으며, 1990년대 들어서는 파워에이드 등 스포츠 드링크, 쿠우 등의 어린이 과일음료등으로 확대해갔다. 동사의 상표로 생산된 음료수는 200개국 이상의 나라에서 판매된다. 1960년 주스 브랜드인 미니트 메이드, 1993년 인도의 콜라 브랜드..

▣ MGK : Vanguard Mega Cap Growth ETF ▶운용회사 : 뱅가드 ▶운용비용 : 0.07% ▶연배당 수익률 : 0.51% ▶배당지급 월 : 3月, 7月, 10月, 12月 [분기배당] ▶구성요소 : MGK ETF는 CRSP US Mega Cap Growth Index를 추적하는 ETF이다. 미국 주식 중 시가총액이 상위 70%의 기업 중 성장성이 좋은 기업만을 모아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 MGK ETF 좋은점 뱅가드에서 MGK ETF를 운용할 때 가장 첫번째로 보는 것이 시총이다. 시총이 큰 대형주 중에서도 기업의 성장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주식만 따로 모아놓았기 때문에 포트폴리오 전체 종목이 약 100여 개가 조금 넘는 정도이다. 최근 S&P500의 주가 이동이나 실적을 보더라도..

사이먼 프로퍼티 그룹(Simon Property Group, Inc.)은 최고급 쇼핑, 식당, 엔터테인먼트 및 복합 이용 목적지를 소유하고 개발 및 관리하는 고급 쇼핑몰 중심의 소매 리츠다. 사이먼 프로퍼티 그룹은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미국의 가장 대표적인 상업 부동산 투자신탁회사(리츠)로서, 쇼핑, 레스토랑, 엔터테인먼트, 프리미엄 아울렛 등의 상업용 부동산을 소유하고 개발 및 관리를 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리테일 리츠는 COVID-19의 폐쇄 기간 동안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종목 중 하나였으며 우량주 사이먼 프로퍼티 그룹은 타격을 면하지 못했다. 또한, SPG의 배당금이 크게 줄면서 주가가 크게 떨어졌다. 리테일 리츠는 COVID-19가 폐쇄되는 동안 가장 큰 타격을 받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