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gulish-Home

'금' 이야기(GOLD) 본문

미국 경제 시황

'금' 이야기(GOLD)

BenTory 2020. 8. 21. 23:37
728x90

요즘 들어 '금'에 대해 얘기가 많이 들린다. 

난 금이 다른 나라 세상 이야기인 줄 알고 살았는데 언제부터인지 금이 들리고 알고 싶어 지고, 알고 싶어 지니 가지고 싶어 진다. 그건 이 글을 보고 계신 방문자들도 마찬가지 일 것 같다. 먼가 금에 누런색을 보며, 가슴이 두근거리기도 하지만 지니고 있으면 평온함을 가져다주는 기분이 든다. 

금에 대해 간단히 공부를 해보자.

< 금 이미지 >

성분 : 화학원소로 기호는 AU이며, 원자 번호는 79

성질 : 빛나는 노란색의 무른 금속으로 연성과 가단성이 있는 전이 금속이다. 금은 어떠한 경우에도 녹이 슬지 않기

때문에 도금을 이용하여 장신구 제작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금은 굉장히 무거운 금속으로서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원소들 중 금 보다 무거운 원소는 많지 않다.

발견 : 덩어리 금속, 바위나 충적토의 알갱이로 산출된다.

과학자들은 지각의 갈라진 틈에서 지표면으로 흘러나오는 액체와 기체가 퇴적되어 금이 생긴다고 설명한다. 금은 지각을 이루는 암석에서 널리 발견되며, 종종 구리나 납도 함께 발견된다. 또한, 광맥, 퇴적층, 사광상에서도 발견되고, 바닷물에서도 발견된다. 사광상에서 발견되는 입자가 큰 금 알갱이를 사금이라고 하는데, 흔히 하천 바닥에서 발견된다. 이 금 알갱이는 지표수나 홍수 때문에 금광맥에서 씻겨 옮겨온 것이다. 바닷물 속에도 금이 있는데, 바닷물에서는 1t당 약 72 mg(100만 톤당 약 6g)의 금이 들어 있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바닷물 속에 들어 있는 금을 유용하게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 중이다. 세계의 주요 금 생산국으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러시아 등이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있는 금광은 경제성이 매우 높다. 대표적인 금광업 중심지는 윗 워터즈 랜드로, 세계에서 매장량이 가장 많다. 러시아의 시베리아 동부, 미국의 네바다주(은도 많이 채광된다)

용도 : 수천 년 이상 금은화 폐로 쓰였으며, 장신구와 치과, 전자 제품 등에도 사용되었다.

특징 : 인류에게 금은 아주 특별한 금속이다. 위기에 강하고, 경제가 어려울수록 더 빛이 난다. 특히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 때 금의 위력을 실감했다. 당시 금 모으기는 애국의 상징이었고, 부족한 달러를 채우는 화폐의 대용품이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거의 금값이 뛰었다. 금이 최고의 안전자산으로 인식된 덕분이다. 역사적으로 금은 ‘진짜 화폐’였다. 금의 속성은 크게 부와 권력의 상징, 투자의 대상이다. 이런 속성이 금에 대한 인간의 욕망을 부풀렸고, 수많은 역사 속 전쟁의 빌미가 됐다. 위험 회피(헤지)는 금이 가진 또 하나의 속성이다. 이는 금의 가치가 다소 출렁거리더라도 인류의 영원한 투자 대상임을 의미한다. 글로벌 시장이 어수선하면 금은 빛을 발한다. 국지적 분쟁으로 리스크가 커지면 금의 투자매력은 커지고, 금값도 오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달러 가치도 금의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달러값이 하락하면 반대로 금값은 오른다. 이런 원리는 금뿐만 아니라 원유 비철금속 등 다른 국제 상품 시세에도 같이 적용된다. 달러 가치 약세는 달러의 구매력이 떨어졌다는 의미이고, 상품을 팔려는 측에서는 가격을 올려 떨어진 구매력을 보충하려 하기 때문이다.

정리 : 이번에 크게 겪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는 전 세계 사람들을 공포로 몰아넣었을 뿐 아니라 세계 경제가 급격한 침체에 진입하여 각구의 정부는 엄청난 양의 돈을 풀며, 경제를 부양하고 있지만, 결국 코로나 19 사태가 끝나고 나면 그동안 풀린 돈으로 인해 엄청난 인플레이션이 유발될 수도 있으며, 그 속에서 사람들은 안전 자산에 눈을 돌리는 계기가 되었는데 그게 '금'이었다. 화폐 가치나 주식은 급격한 하락을 겪었지만 금은 오히러 더 높은 가치를 보여 주게 된 것 같다. 이번 사태 이후 필자 역시도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에 관심을 가지며 공부를 해야겠다는 마음을 다지며, 실물 금을 구매 하기 보다는 금 ETF 투자에도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투자를 공부함에서 알게 된 것은 '투자'를 잘못 생각해서 '투기'로 변질되는 경우가 생긴 다는 점이다. 투자하는 사람들에게 제일 경계해야 하는 부분이며, 스스로 공부를 하고 자기가 분석하고 알게 된 만큼을 하는 것이 제일 효과적인 투자 방법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 금 투자 >

728x90